반응형
1초 만에 재무제표 읽는 법:사례편에서...
"자산회전율
- 자산과 매출액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자산회전율' 이다. 식으로 나타내면 '매출액/자산' 이다.
매출액을 높이기 위해 자산을 얼마나 사용했으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자산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했는지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제조업은 1배 정도가 표준이다.
자산효율이 나쁘면 자산회전율이 떨어진다.
다만 자산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효율이라는 관점에서는 좋은 일이지만 안전성이라는 관점에서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자산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자산에 비해 매출액이 높다는 뜻이고,
그런 기업은 보통 비용이 많이 들어갈 때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즉 자산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비용을 많이 사용해 매출을 높인다고도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회사나 컨설팅 회사 등이 대표적인 예다.
그런 업종은 매출액이 하락했을 때 경비를 효과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러지 못하면 금방 도산할 수 있다
자산은 급박한 순간을 위한 비상금이기도 한 것이다.
자산회전율이 높은 회사는 유동비율과 자기자본비율 등이 모두 양호해도
갑자기 도산할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반응형
'부자되기 >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현금흐름을 통해 미래 투자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0) | 2019.03.13 |
---|---|
자산이익률(ROA) (0) | 2019.03.13 |
단기유동성 (0) | 2019.03.12 |
IFRS 란 무엇인가 (0) | 2019.03.12 |
매출원가와 제조원가는 다르다 (0) | 2019.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