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과 투자에서...
"주식시장이 세그먼트화된 이유는 세가지로 볼 수 있다.
1) 구조적 이유다
- 투자 전문가들은 고객과 맺은 계약 때문에 특정 주식에 투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정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S&P 보통주 등급 B 이하에는 투자하지 못한다.
또 시가총액이 일정 수준 미만이면 투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시가총액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투자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
아니면 윤리적인 이유로 특정 업종에 투자가 금지되기도 한다.
이렇게 스타일 기준이 증가하면서 시장이 더 복잡하게 세그먼트화되었으므로 주식시장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
2)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이다.
-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완벽하게 효율적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모든 투자자가 모든 정보를
완전히 이해해 즉각적으로 반응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
모든 투자자가 동시에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 아니고,
모든 투자자가 정보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모든 투자자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지도 않는다.
3) 사람들이 위험보다 후회를 더 회피하기 때문이다.
- 후회 회피란 고객에게 사과하게 되는 상황을 두려워한다는 뜻이다.
포트폴리오 매니저가 좋은 기업을 사면,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대개 투자자에게 책임을 추궁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쁜 기업을 사면, 주가가 하락할 경우 투자자에게 책임을 추궁당하기 쉽다.
투자자는 이런 기업을 알아보지 못한 포트폴리오 매니저를 무능하다고 생각한다
좋은 기업을 사든 나쁜 기업을 사든 실적은 부진할 수 있다.
문제는 누가 추궁당할 것이냐다. 이런 후회 회피 탓에 나쁜 주식이 소외되어
이익예상 라이프사이클의 6시에 자리 잡게 된다.
"
'부자되기 >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가 돈을 쓰면 갈 수 있는 곳이 세 곳밖에 없습니다. (0) | 2020.03.18 |
---|---|
재무제표, 무엇부터 봐야 하나요? (0) | 2020.03.18 |
이익이 증대하면 현금흐름이 좋아진다 (0) | 2019.08.14 |
현금흐름은 3가지로 나뉜다 (영업, 투자, 재무) (0) | 2019.08.14 |
현금흐름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와 함께 3대 결산서 (0) | 2019.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