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이익이 증대하면 현금흐름이 좋아진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중장기적 관점에서 현금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방법은 단 하나, '이익 증대' 뿐이다. 매출-경비=이익이므로 이익 증대를 위해서는 매출을 늘리거나 경비를 삭감하면 된다. 단기적으로 회사의 현금흐름을 원활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매출채권 회수기간을 앞당긴다, 외상매입금 지불기간을 늘린다. - 재화 및 서비스 판매 후 매출채권이 회수되기까지의 기간을 '매출채권 회수기간'이라고 하며, 외상매입금 지불까지의 기간을 '외상매입금 지불'이라고 한다. 2) 재고를 줄인다. - 매출원가를 계산하는 공식은 매출원가 = 순매입액 + 기초상품재고액 - 기말상품재고액이다. 따라서 '재고가 많다 = 매출원가가 낮다 = 이익이 증가한다', ' 재고가 적다 = 매출원가가 높다 = 이익이.. 더보기
현금흐름은 3가지로 나뉜다 (영업, 투자, 재무)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1)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흐름 - 일반적인 영업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현금흐름이다. 회사 주업에서의 현금 증감 상태를 나타내므로 튼튼한 회사는 이 부분이 플러스가 된다. 신규 사업의 경우는 아직 돈이 회수될 단계가 아니므로 마이너스가 돼도 이상할 것이 없다.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흐름을 꼼곰히 파악하면 계산서를 만들지 않고도 결산서 상의 이익에 감가상각비를 추가할 수 있다. '감가상각비'라는 경비는 실제로 돈을 지불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만큼을 이익에 더한다. 현금시점에서 보면 결산서 상의 이익이 지나치게 마이너스가 된 것이기 때문에 되돌리는 것이다. 엄밀히 따지면 다른 부분에서도 더하고 빼야할 요소가 있지만 우선은 '이익 + 감가상각비'만 기억하자 2) 투자활동에 따른 .. 더보기
현금흐름표는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와 함께 3대 결산서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현금 흐름이란 한마디로 돈의 흐름이다 여기서 '현금'의 의미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자 현금에는 현금성 자산도 포함된다. 현금은 수중의 현금과 요구불예금(보통예금처럼 언제든 인출할 수 있는 예금)이다. 현금성자산이란 가치의 변화가 거의 없고, 현금으로 쉽게 바꿀수 있는 단기적 예금(3개월 이내의 정기예금 등)이다. 쉽게 말하면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돈이다. 상장기업은 제도회계로서의 '현금흐름표'를 의무적으로 개시하게 되어 있다. 현금흐름표는 앞 장에서 설명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와 함게 3대 결산서로 꼽힌다. 투자가와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룰에 따라 '재무상태표'와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현금 흐름표를 통해 .. 더보기
재무회계는 '발생주의' 사고가 중요하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재무회계는 '발생주의' 사고가 중요하다 즉, 거래가 발생했을 때 기록하는 것이다 아직 돈은 못 받았지만 상품을 판매했다면 그 시점에서 매출을 계상한다 반대로 돈을 지불하지 않았어도 상품을 매입했으면 그 시점에서 매입을 계상한다. '매출채권', '매입채권'로 기록하는 것이다. " 더보기
'자산'과 '부채'는 각각 1년 기준으로 '유동'과 '비유동'으로 나뉜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자산'과 '부채'는 각각 1년 기준으로 '유동'과 '비유동'으로 나뉜다 1년 안에 회수 할 수 있는 자산은 유동자산 1년 이상 걸리는 것은 비유동 자산이다. 마찬가지로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부채는 유동부채 1년 이후 갚아도 되는 것은 비유동부채다. 이 1년의 기준을 '원이어 룰(one year rule)'이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유동화하기 쉬운 순서로 배열한다. " 더보기
밸런스시트(자산, 부채, 순자산) (재무상태표)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자산 - 현금과 예금, 매출채권, 건문 등이 있고요, 부채 - 차입금과 매입채무, 즉 타인의 돈이 모인 거죠. 순자산 - 자본금과 이익잉여금, 즉 스스로 모은 돈입니다. " 더보기
이익에는 5가지 종류가 있다 (회계학)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에서... "이익에는 5가지 종류가 있다 1)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2)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일반관리비 3) 경상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 이익 - 영업외 비용 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경상이익 + 특별이익 - 특별손실 5) 당기순이익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법인세 '이익' 이라는 말이 등장하면 무엇과 무엇의 차액인지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