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적들의 창업이야기에서...
"일반적인 창업 아이템을 선택한다.
- 창업자에게 3억 원이 있다면 무슨 사업을 어떻게 진행할지 생각할 것이다.
어떤 창업자는 트렌드에 맞춰서 모바일 앱 관련 사업을 할 것이고,
어떤 창업자는 창업박람회를 다녀보다가 이 자금으로 시작 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사업을 선택할지도 모른다.
창업자에게는 이미 거액의 돈이 있기 때문에 이 돈과 맞바꿀 수 있는 더 안정적이고 검증된 사업을 찾게 된다.
이미 수요가 확인된 사업을 원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업은 일반적인 사업 모델이다.
즉, 돈이 있으면 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사업이기 때문에 경쟁이 더 할 수 없이 치열하다.
경쟁자의 고객을 빼앗지 않으면 내가 죽는 사업이다.
운 좋게 빨리 시작하더라도 창업자가 자리를 잡을 때쯤에는 유행에 뒤처지는 아이템이 되거나
레드오션이 도리 확률이 높다. 장기간 지속하기 어려워진다. 지속적으로 운이 따라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이런 현실 앞에서 많은 창업자들이 좌절을 맛보고 손실을 입게 된다.
"
반응형
'부자되기 > 창업(스타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에 의존하면 망하는 이유 (폐업과 비극의 악순환이 계속된다) (0) | 2019.06.25 |
---|---|
돈에 의존하면 망하는 이유 (돈 쓰는 아이디어만 낸다) (0) | 2019.06.24 |
돈은 버는게 아니라 담기는 거다 - 이건희(삼성전자 회장) (0) | 2019.06.24 |
창업에서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은 (0) | 2019.06.18 |
스타트업에게 추천하는 주요 검증 단계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