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상식사전에서...
"현대 자본주의 금융시스템의 기본 골격은 대부분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네덜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부자나라 였고 세계금융의 중심지였거든요
주식회사가 등장했고 개인 간에 주식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해상무역을 통해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물건들이 쏟아져들어왔고, 수입될 물건을 기반으로 한
선물거래 (futures trading) 가 이루어졌습니다.
멀리 아시아까지 무역을 하러 떠나는 배들을 위한 해상보험이 생겨났습니다.
중앙은행이 등장한 것도 바로 이때입니다.
땅덩어라도 크지 않고 인구도 많지 않던 네덜란드가 어떻게 17세기 세계경제의 중심이 되었을까요?
네덜란드는 당시 '무적함대'로 불리던 세계 최강국 스페인과 80년에 걸친 독립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스페인의 식민지에서 벗어났습니다.
종교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와 해상무역을 통한 자유경쟁체제를 기반으로 한 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자
유럽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과 돈이 몰려왔습니다.
그중에는 스페인에서 쫒겨난 유대인도 대거 포함되어 있었죠
이리하여 네덜란드는 동쪽으로는 동남아시아와 중국, 일본까지, 서쪽으로는 아메리카 신대륙에 이리는 광대한
해상무역망을 구축하면서 세계무역의 중심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1602년 최초로 정부 인가를 받은 주식회사읜 동인도회사가 설립되었고,
1621년에는 아메리카대륙과 교육하기 위해 서인도회사가 만들어졌습니다.
회사들이 잇따라 생겨나고 돈이 돌다 보니 은행의 역활이 어느 때보다 필요했습니다.
1609년에는 유럽 최초의 중앙은행인 네덜란드의 비셀방크(Wissel bank)가 문을 열게 되죠.
비셀방크는 이자를 주지 않았지만 고객으로부터 예금을 받았고,
자체에 보유한 금 한도 내에서 은행권을 발행했습니다.
네덜란드 상인들은 중앙은행인 비셀방크를 통해 세계무대에서 통일된 결제수단으로
자금결제를 할 수 있었습니다.
1610년에는 암스테르담에 증권거래소가 등장했습니다.
여기에서 동인도회사 주식이 거래되었고, 미래시점에 확정된 가격에 상품을 인도하기로 하는 선물거래가
일반화되었습니다. 상품뿐만 아니라 주식도 미래시점에 정해진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옵션(option) 거래가
시작되었고, 주식을 담보로 한 대출도 이루어졌습니다.
선물, 옵션, 액면분할 등 현대 주식시장에서나 볼 수 있는 용어들이 이미 17세기 네덜란드에서
흔하게 사용되었다는 사실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
'부자되기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지펀드 (hedge fund), 포트폴리오(portfolio) (0) | 2019.03.13 |
---|---|
유대인이 고리대금업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0) | 2019.03.13 |
금본위제 (gold standard), 지급준비제도(reserve requirement system) (0) | 2019.03.13 |
핫머니 잡는 데는 내가 특효! '토빈세' (0) | 2019.03.06 |
페이퍼컴퍼니(paper company), 조세피난처 (0) | 2019.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