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타트업 1년 차입니다에서...
"드롭박스 서비스는 서비스 특성상 한 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다른 서비스로 이동할 때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야 하기 때문에 락인 (lock-in) 효과가 있고,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드롭박스를 지원하는 연관 서비스가 늘어나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ffect) 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기능'만 가진 것이냐,
경쟁력 있는 '제품'이 될 수 있는 것이냐에 대한 경계도 모호한 부분이 있다.
다만, 단순히 기능 자체의 비중이 높은 경우 매력적인 사업 아이디어가 되기 어렵다는 점은 확실하다.
* 락인효과: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여 이용하다 보면 다른 유사한 제품(서비스)으로의 이전이 어렵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 네트워크 효과: 어떤 재화의 수요자가 늘어나면 이용자들이 느끼는 가치도 더불어 변하게 되는 효과를 말한다.
가령 많은 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이용하다 보니 어려 전달방법 중 카카오톡 하나만 사용해도 되는 등 이용자들이
늘어날수록 사용가치가 커지는 효과를 의미한다.
"
반응형
'부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을 앞두고 있다면, 크고 매력적인 목표를 찾아야 한다. (0) | 2019.06.26 |
---|---|
정당한 소유는 인간을 자유롭게 하지만 (0) | 2019.06.25 |
영업을 외부에 맡기거나 영업전문가를 영입하고 한다면 (0) | 2019.06.05 |
상대의 강점을 높이 사고 자신의 강점을 낮게 보자 (0) | 2019.06.04 |
내일은 쉬어라, 아무 생각 말고 (0) | 2019.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