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자되기

아마존 '넛지 마케팅' (클릭스트림)

반응형

나는 아마존에서 미래를 다녔다에서...


"아마존은 방대한 데이터와 뛰어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이 같은 넛지 마케팅 모범 사례가 되었다.


아마존이 수집하는 데이터는 실로 엄청나다.

지금 이 시간에도 아마존 사이트에서 일어나는 전 세계 소비자들의 클릭스트림(click stream) 

(인터넷 상의 일련 행동정보) 이 초대용량 데이터 분산처리 시스템에 빠짐없이 저장되며 실시간으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을 통해 더 나은 구매 경험을 위해 활용된다.


구글이 검색 관련 정보의 1인자이고

페이스북이 관계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지만

그 누구도 아마존만큼 구매와 직결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게다가 단순한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머물지 않고 진화함에 따라 고객에 대한 더욱 다양하고

입체적인 정보가 나날이 아마존의 데이터베이스에 쌓이고 있다. 

이런 데이터들이 날로 똑똑해지는 아마존 인공지능 학습 재료다


이 인공지능이 각 고객에게 보여줄 내용을 페이지 로딩 시에 실시간으로 선별하고,

이에 따라 아마존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각자 자신만을 위한 맞춤 쇼핑을 경험하게 된다.


(예, 닌텐도를 검색하고 나면 같은 제품을 검색했던 사람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추천한다. 

닌텐도 관련 상품뿐 아니라 고객층이 비슷한 레고 제품도 다수 추천되었다.)


아마존은 이런 개인화에 필요한 데이터 활용과 실시간 추천을 위해 오랜 시간 많은 인력과

인프라를 투자했다. 


고객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상품들이 자동으로 진열되어서 좋고,

아마존은 구매전환율을 올려서 좋다.


실제로 유통백서에 따르면 아마존을 방문한 소비자의 구매전환율은 13퍼센트로,

국내 온라인 쇼핑몰의 평균 6.2 퍼센트를 두배가량 웃돌고 있다.


또한 아마존은 이런 클릭스트림 데이터 기반 추천 서비스를 

아마존 웹서비스(AWS)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

반응형